이 글은 책 <삶이란 무엇인가>, <모든 것의 기원>, 책 <우리 몸이 세계라면>, 위키백과를(을) 보고 공부, 정리한 내용임을 알림
거의 대부분이 복붙 형식입니다
모르는 단어 = Bold 처리
승(¹²³⁴) 쓰는 법 (ㅊ 한자 숫자)
---------------------------------
메가(mega)는 SI 단위계에서 100만을 나타내는 접두어이다. 이는 그리스어의 '크다'를 뜻하는 μεγας(메가스) 에서 온 말이다. 테라바이트 다음 단위는 페타다. 킬로 메가 기가 테라 페타 엑사 제타 요타 순서다.
접두어, 배수 순서다
10의 24승 = 요타(yotta) 일 자
10의 21승 = 제타(zetta) 십 해
10의 18승 = 엑사(exa) 백 경
10의 15승 = 페타(peta) 천 조
10의 −¹승 = 데시(deci) d 십 분의 일(0.1)
10의 −²승 = 센티(centi) c 백 분의 일(0.01)
10의 −³승 = 밀리(milli) m 천 분의 일(0.001)
10의 −6승 = 마이크로(micro) µ 백만 분의 일(0.000001)
10의 −9승 = 나노(nano) n 십억 분의 일(0.000000001)
10의 −¹²승 = 피코(pico) p 일조 분의 일(0.000000000001)
10의 −15승 = 펨토(femto) f 천조 분의 일(0.000000000000001)
10의 −18승 = 아토(atto) a 백경 분의 일(0.000000000000000001)
10승 −²¹승 = 젭토(zepto) z 십해 분의 일(0.000000000000000000001)
10의 −²⁴승 = 욕토(yocto) y 일자 분의 일(0.000000000000000000000001)
케플러 궤도 Keplerian orbit
17세기에 행성의 운동 법칙을 발견한 독일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의 이름에서 따온 용어
오늘날 태양계의 행성들은 태양의 중력과 공전에 의한 원심력이 정확하게 균형을 이루는 '케플러 궤도'를 돌고 있다
박테리아는 보통 0.001mm(10−³mm) 정도의 크기다
국제천문학연합회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명왕성은 과거에 행성 대접을 받아오다가 2006년에 국제천문학연합회에 의해 지위를 박탈당했다
그러나 NASA에서 발사한 무인 소행성 탐사선 뉴호라이즌스가 2015년에 몇 가지 관측 자료를 보내온 후로 학계에서는 명왕성을 왜소행성으로 다시 격상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AU = Astronomical Unit
천체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천문 단위
1AU = 1억5천 만 km =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
후기 운석 대충돌 Late Heavy Bombardment
40억 년 전에는 후기 운석 대충돌이 일어났었다
후기 운석 대충돌을 설명하자면 복잡하지만 추후 공부해서 추가할 예정
태양계 행성들의 궤도 이동을 설명하는 이론, 즉 Nice model은 나이스 모델이 아니라 니스 모형이다
프랑스 니스대학교(Univ. of Nice) 의 연구팀이 처음 제안했기 때문이다
조간대 intertidal zone
밀물 때 바닷물에 잠겼다가 썰물 때 드러나는 영역
조간대에 사는 생명체들은 수상 생활과 육지 생활에 모두 적응해서 바다 생명체가 육지로 진출하는 교두보 역할을 했다
교두보 = 강과 강 사이를 이어주는 다리 같은 역할인 것 같음
분열이론 Fission Theory
대충 지구에서 큰 덩어리가 떨어져나가 달이 되었고, 그 자리는 태평양이 되었다는 이론
하지만 이것은 완전 틀린 것으로 판명되었다고 한다
평균 밀도 정리
밀도의 단위는 g/㎤ 으로 작성했다
지구 5.5
물 1
돌멩이 3
금속 10
철 8
금 20
손톱이 자라는 과정을 직접 볼 수는 없지만 손톱이 자란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다
가만히 있는 시체놀이 조차 지겨워진 사람이라면 가능할 수도 있다 ㅋ
핫스팟 hot spot
철핵과 맨틀의 경계 부위에서 이상적으로 뜨거운 부위를 핫 스팟이라 한다
대양저 산맥 midocean ridges
한 단어가 아닌 대양저 + 산맥이다
국어사전에 따르면 대양저는
대륙 사면에 이어지는 깊이 4,000~6,000미터의 해저 지형. 경사가 극히 완만하여 평탄하고 광대한 대지를 이룬다
라고 명시되어있고 산맥은
봉우리가 선상(線狀)이나 대상(帶狀)으로 길게 연속되어 있는 지형
이란다
지질 구조판 종류
1. 유라시아판 Eurasian
2. 후안 데 푸카판 Juan de Fuca
3. 북아메리카판 N. American
4. 아프리카판 African
5. 아라비아판 Arabian
6. 필리핀판 Philippine
7. 코코스판 Cocos
8. 카리브판 Caribbean
9. 인도판 Indian
10. 태평양판 Pacific
11. 남아메리카판 S. American
12. 호주판 Austrailian
13. 나즈카판 Nazca
14. 남극판 Antarctic
여기 적어둔 지질 구조판들이 현존하는 지는 공부하지 않았기 때문에 과거에 있었는데 지금은 없거나 아직까지 존재하거나 이름이 바꼈거나 할 수 있다
안드로메다 은하
88개의 별자리 중 하나
천문학적 명칭 - NGC 7640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화석은 스트로마톨라이트다. 호주 서부 샤크만(Shark Bay)의 헤멀린 풀 해상보존지역(Hamelin Pool Marine Nature Reserve)에 퍼져 있다.
지구의 생명은 표면을 덮고 있는 얇은 대기와 물에서 탄생했다.
콜라 병 뚜껑을 따고 거품이 생기는 이유는 뚜껑을 열면 압력이 낮아져서 콜라에 녹을 수 있는 이산화탄소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여분의 이산화탄소가 분출해서 생기는 것
121 기습사건 = 김신조 사건
1월 21일에 북한군 31명이 남한에 침입하였으나 전원 사망하고 김신조만 생포되어 김신조 사건이라고 불리는 것
하지만 북한 당국은 이를 부인해서 김신조는 "나는 어디에 속한 사람인가" 하고 현타가 왔다고 한다
KAL858기의 폭파 이유는 88올림픽 방해 목적 이라고 한다
승리의 삼위일체 (三位一體)
결연한 정부
강력한 군대
열정적인 국민
『전쟁론』 클라우제비츠
Asia Paradox
동북아 지역에서 경제분야의 상호이익을 위한 상호의존도가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정치·안보 분야의 갈등이 증가하는 현상
군기 (軍旗)
군대의 기율
= 생명
목적 : 지휘체계를 확립하고 질서를 유지하며 일정한 방침에 일률적으로 따르게 하여 전투력을 보존·발휘하는데 있다
군인복무기본법시행령 제2조 1항에 명시됨
사기 (결전의지)
군 복무에 대한 군인의 정신적 자세
군인복무기본법시행령 제2조 2항에 명시됨
단결
공사의 명확한 구분과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역랴을 통합·집중하는데 있다
군인복무기본법시행령 제2조 3항에 명시됨
군인복무기본법시행령에 관해서는 이 링크를 참조하라
대한민국 헌법 제39조
1.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방의 의무를 진다
2. 누구든지 병역의무의 이행으로 인하여 불이익한 처우를 받지 아니한다
1907년 8월 1일 오전 8시 군대해산
군불능수국 신불능진충 만사무석
軍不能守國 臣不能盡忠 萬死無惜
"군인으로서 나라를 지키지 못하고 신하로서 충성을 다하지 못했으니 만 번 죽어도 애석할 것이 없다"
군대해산에 분개하여 자결한 시위대 제1연대 1대대의 대대장 박승환의 유서 내용이다.
한미상호방위조약 제2조
"자조와 상호원조에 의해 무력공격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을 지속하여 강화시킬 것"
이승만 전대통령과 델레스 미국 전 국무장관의 가조인 - 1953/08/08
안시성 전투는 양만춘이 이끌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은 직지심체요절이다
태양부의 중심온도는 약 15,000,000℃ 이다
빅뱅이론은 수많은 우여곡절을 겼었다
우리 태양계는 지금으로부터 약 50억 년 전에 형성됨.
우주의 탄생 후 약 90억 년이 지난 시점이다.
원자가 원자핵 크기로 줄어들었음은 반지름이 0.00005배로 줄어들었다는 뜻이고 부피는 반지름의 세제곱에 비례하므로 밀도는 10의 15승 배로 증가한다
여기 밀도는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이다
주기율표 periodic table
1869년, 러시아의 화학자 드미트리 멘델레예프(Dmitri Mend eleev)는 자연 에 존재하는 모든 원소를 특정 규칙에 따라 나열한 주기율표를 만들었다.
동위원소 isotope
두 원자핵의 양성자 개수는 같으면서 중성자 개수가 다른 것
바스크어 (Basque language)
프랑스와 스페인의 국경인 피레네 산맥 지역에서 쓰이는 희귀 언어
혹시 몰라서 바스크어를 검색해보니 구글 번역기가 떴는데 구글 번역기에도 바스크어가 있더라
'안녕하세요'는 Egun on
배우기가 정말 어렵다고 한다
교육 과정의 난이도에 비해 실용성은 매우 떨어지는 수준이라서 그런지 한국에서는 배울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한다
영어로 배우던지, 일본어로 배우는 방법 밖에 없다는 것이다
생면부지 (生面不知)
살면서 본 적 없는 얼굴
= 초면
마이크로파 우주배경복사 (이하 CMB복사) cosmic Microwave Background Radiation
빅뱅 때 방출된 빛의 잔해로서 평균 3K(-270℃)라는 온도로 우주공간을 가득 메우고 있다
p.s 천체물리학자들 사이에서는 빅뱅의 확증으로 꼽았다
위상변화 phase transition
기체 -> 액체, 액체 -> 고체 현상
우리가 알 수 없는 초기 조건에 의해 크게 좌우했다고 한다
힉스 입자 Higgs particle
모든 입자에 질량을 부여하는 입자
영국의 물리학자 Peter Higgs가 발견
질량과 에너지는 아인슈타인의 E=mc²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E = Energy
m = Mass (질량)
c = speed of light (광속)
근데 광속은 왜 c인지 모르겠다 s로 안하고 c로 한 이유가 있지 않을까?
반입자 antiparticle
모든 입자는 자신과 질랴이 같고 전하의 부호가 반대인 파트너를 갖고 있다
소행성 벨트 Asteroid belt
화성과 목성 사이에 100~200만 개의 소행성이 모여 있는 지역 모든 소행성들은 다른 행성처럼 태양 주변을 공전하고 있다.
인간 : 700만 년 전 처음 등장 추정
동물 : 인간보다 6억 년쯤 먼저 등장
최초 생명체 : 동물보다 30억 년 먼저 등장
태양계, 지구: 최초 생명체보다 10억 년쯤 전 등장
우주 : 태양계, 지구보다 10억 년쯤 전 형성
허블의 최대 업적은 적색편이라는 현상을 통해 우주가 팽창하고 있음을 알아낸 것이다
최초의 은하는 거대한 구름 속에서 태어난 작은 별들이 중력으로 뭉치면서 발생했다
빅뱅 후 약 1초 지났을때 렙톤 생산이 중단될 정도로 온도가 낮아졌기 때문에 빅뱅 후 10의 마이너스 5승 ~ 1초 사이를 렙톤 시대라 한다
오늘날 우주에 존재하는 렙톤의 대부분은 이 시기에 만들어짐(핵반응으로 생긴 렙톤은 제외)
핵자 nucleon
핵자 = 양성자 + 중성자
최초의 별은 수소, 헬륨이 주성분이었다
양자역학은 독일 물리학자 Max Planck가 창시했다
전자기력
전하를 띤 입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전기력과 자성을 연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전기력을 통합한 힘
약력
모든 종류의 붕괴 현상에 관여하는 힘
중력
우리의 몸을 땅 위에 붙잡아두는 힘
최초의 물질은 쿼크(quark)라는 소립자로 이루어진 수프 형태였다
쿼크는 양성자(proton)와 중성자(neutron)를 구성하는 입자, 양성자와 중성자는 원자핵을 이루는 입자다.
물질과 반물질이 접촉하면 복사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순식간에 사라진다. 이 과정을 쌍소멸(pair annihilation)이라 함
이때 방출된 복사에너지의 양은 E=mc²로 결정된다
여기서의 m은 물질+반물질의 질량
1광년 = 약 10조 km
빅뱅 이후 10의 마이너스 5승(0.00005)초 지났을때 이들은 짧은 시간 동안 공존하다가 서로 만나면서 다량의 복사에너지를 남기고 사라짐
중력 렌즈 효과 gravitational lens effect
빛이 은하단과 같은 거대한 질량을 통과할 때 경로가 휘는 것
우주에 존재하는 질량과 에너지의 70%는 암흑 에너지
25%는 암흑 물질
5%는 별, 행성, 인간
현재 알려진 지구와 태양계의 나이는 약 46억 년이다. 이 값은 어떻게 구한 것일까?
소행성 벨트에서 지구로 떨어진 운석을 분석하여 알아낸 것이다.
지구에는 이 정도로 오래된 바위가 없다고 전해진다.
요즘은 지구의 온도가 평균 15℃다
금성은 500℃.
대기의 압력이 1기압(1atm)일 때 물은 100℃에서 끓는다
지구의 대기압이 60atm이었을때는 물이 200~300℃에서도 액체 상태였다
날씨란, 대기의 가장 낮은 층인 대류권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대류권 troposphere
전형적 협심증 typical angina
관상동맥이 좁아져서 생기는 질병으로, 흉부 불편감이나 통증을 동반한 경우 전형적 협심증이라 한다
전조 증상 prodromal symptom
질병이 본격적으로 발생하기 전 나타나는 현상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의 단위 (청정~무량대수) (0) | 2021.04.12 |
---|---|
파이썬 다운로드 (0) | 2021.03.07 |
불편을 끼쳐 드려서 죄송합니다 (0) | 2021.01.16 |
딥웹 (0) | 2020.12.23 |
명언 (0) | 2020.12.13 |